본문 바로가기

연봉 8000 실수령액. 연봉 7000. 연봉 6000. 연봉 4000(2025 연봉 실수령액표)

취업을 준비하거나 이직을 고민할 때 가장 먼저 궁금한 것은 바로 "연봉 실수령액"입니다. ‘연봉 8000이면 실제로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세금 떼고 나면 얼마가 남지?’이런 고민을 해본 적이 있으시다면 이 글을 끝까지 참고해 주세요. 

 

 

 

2025년 세법 기준으로 연봉 4000만원부터 8000만원까지 실수령액을 깔끔하게 정리해드릴게요.처음 보는 분들도 이해하기 쉽도록 표와 함께 설명을 덧붙였으니 끝까지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실수령액 이란?

실수령액은 말 그대로 회사가 제시한 연봉에서 각종 세금(소득세, 지방소득세, 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요양보험, 고용보험 등)을 제외하고 실제로 내 통장에 들어오는 금액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연봉이 5000만원이라도 실제 손에 쥐는 돈은 5000만원보다 적습니다.
이 실수령액은 가족 부양 여부, 기타 소득 공제 사항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이 글에서는 1인 가구 기준으로 단순화된 금액을 기준으로 안내드립니다.

 

 

2025년 연봉 실수령액표 (1인 가구, 4대 보험 가입 기준)

연봉 월 실수령액(세후) 실수령액(세후) 연간 공제액(세금+4대보험)
4,000만원 약 271만원 약 3,252만원 약 748만원
5,000만원 약 331만원 약 3,972만원 약 1,028만원
6,000만원 약 392만원 약 4,704만원 약 1,296만원
7,000만원 약 454만원 약 5,448만원 약 1,552만원
8,000만원 약 513만원 약 6,156만원 약 1,844만원
 

※ 위 표는 2025년 예상 공제율과 세율 기준으로 간략화한 수치입니다. (1인 가구, 비과세 수당 없음, 기타 소득 없음 기준)

 

 

연봉별 실수령액 상세 분석

연봉 4000 실수령액

  • 월급 실수령액 약 271만원
  • 중소기업 신입사원 또는 경력 1~2년차에게 흔한 수준입니다.
  • 공제액이 약 750만원 수준으로, 1년 중 약 19% 정도가 세금 및 4대 보험으로 빠져나갑니다.
  • 2025 연봉 4000 실수령액은 예산 관리에 중요한 기준선이 됩니다.

연봉 5000 실수령액

  • 월 실수령액 약 331만원
  • 세후 연봉 약 3970만원이며, 중견기업 또는 대기업 초봉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 급여가 늘어나면서 국민연금, 건강보험 등의 공제 비율도 소폭 증가합니다.

연봉 6000 실수령액

  • 월 실수령액 약 392만원
  • 실수령 연봉 약 4700만원대, 세금 및 4대보험으로 약 1300만원이 공제됩니다.
  • 이직 시 연봉 협상에서 기준이 되는 구간이며, 연봉 6000 실수령액은 실생활에서 체감 차이가 꽤 크다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연봉 7000 실수령액

  • 월 실수령액 약 454만원
  • 이직자, 팀장급, 또는 전문직 초중반 경력자에게 흔한 연봉대입니다.
  • 세금 비율이 조금 더 늘어나 연간 약 1550만원이 공제됩니다.

연봉 8000 실수령액

  • 월 실수령액 약 513만원
  • 실수령 연봉이 6150만원대이며, 4대 보험과 세금으로 약 1800만원 가까이 공제됩니다.
  • 소득세율이 점점 올라가기 때문에, 급여 인상에 비해 실수령 증가폭은 줄어드는 경향이 있습니다.

 

 

연봉 인상 = 실수령 증가? 꼭 그렇지는 않다!

"연봉이 1000만원 오르면 월급이 100만원 더 들어오겠지?"
→ 아닙니다. 소득세는 누진세 구조이기 때문에 연봉이 올라갈수록 세금도 더 많이 부과됩니다.
예를 들어 연봉 6000에서 7000으로 1000만원 인상될 경우, 실수령은 약 744만원 증가에 그칩니다. 약 256만원은 세금 등으로 빠지는 셈이죠.

 

 

실수령액 계산 시 참고할 점

  • 부양가족 유무: 부모, 자녀를 부양하면 공제 혜택이 커질 수 있습니다.
  • 비과세 항목: 식대, 차량유지비, 복리후생비 등 비과세 수당이 많은 경우 실수령액이 늘어납니다.
  • 연말정산 결과: 매년 연말정산에서 환급을 받는 경우도 있어 실질 세금 부담이 줄 수 있습니다.
  • 회사별 4대보험 부담률: 일부 회사는 일부 보험을 많이 부담해주기도 하므로 차이가 생길 수 있습니다.

 

실수령액 계산기 활용 팁

연봉 실수령액을 보다 정확히 알고 싶다면, 다음과 같은 무료 실수령액 계산기를 활용해보세요.

 

 

 

 

이 계산기들은 2025년 세법을 기준으로 빠르게 실수령액을 계산해주며, 공제 내역도 자세히 확인할 수 있어 유용합니다.

 

 

연봉 8000만원~3억원 실수령액표

2025년 기준, 1인 가구, 일반 근로자, 4대보험 가입 기준으로 표로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연봉(만원) 실수령액(만원) 월 실수령액(만원) 공제액(만원)
8,000 약 6,156 약 513 약 1,844
9,000 약 6,823 약 568 약 2,177
10,000 약 7,481 약 623 약 2,519
11,000 약 8,137 약 678 약 2,863
12,000 약 8,793 약 733 약 3,207
13,000 약 9,448 약 787 약 3,552
14,000 약 10,103 약 842 약 3,897
15,000 약 10,758 약 896 약 4,242
16,000 약 11,413 약 951 약 4,587
17,000 약 12,068 약 1,005 약 4,932
18,000 약 12,723 약 1,060 약 5,277
19,000 약 13,378 약 1,115 약 5,622
20,000 약 14,033 약 1,169 약 5,967
21,000 약 14,684 약 1,224 약 6,316
22,000 약 15,335 약 1,278 약 6,665
23,000 약 15,986 약 1,332 약 7,014
24,000 약 16,637 약 1,386  7,363
25,000 약 17,288 약 1,440 약 7,712
26,000 약 17,939 약 1,495 약 8,061
27,000 약 18,590 약 1,549 약 8,410
28,000 약 19,241 약 1,603 약 8,759
29,000 약 19,892 약 1,657 약 9,108
30,000 약 20,543 약 1,712 약 9,457

 

 

2025년 연봉 소득 상위 백분위별 추정표

아래는 2025년 한국의 연봉 소득 분포 추정치를 기반으로, 상위 0.1%부터 90%까지의 연봉 구간을 정리한 표입니다.

주의사항

  • 본 자료는 통계청, 국세청, 고용노동부 등의 최근 자료와 민간 통계를 기반으로 추정한 것으로, 2025년 기준 정확한 공식 수치는 아닙니다.
  • 대상은 근로소득자(직장인) 기준입니다. 사업소득자나 자산소득자는 제외됩니다.
  • 전체 근로소득자의 연봉 분포를 기준으로 작성한 것입니다.

 

 

소득 백분위상위 몇 % 연봉 기준 (추정)
0.1% 상위 0.1% 5억 원 이상
0.2% 상위 0.2% 4억 5천만 원
0.3% 상위 0.3% 4억 원
0.4% 상위 0.4% 3.5억 원
0.5% 상위 0.5% 3.2억 원
0.6% 상위 0.6% 3억 원
0.7% 상위 0.7% 2.8억 원
0.8% 상위 0.8% 2.6억 원
0.9% 상위 0.9% 2.4억 원
1.0% 상위 1% 2.2억 원
2.0% 상위 2% 1.7억 원
3.0% 상위 3% 1.5억 원
4.0% 상위 4% 1.4억 원
5.0% 상위 5% 1.3억 원
6.0% 상위 6% 1.2억 원
7.0% 상위 7% 1.15억 원
8.0% 상위 8% 1.1억 원
9.0% 상위 9% 1.05억 원
10.0% 상위 10% 1억 원
20.0% 상위 20% 8천만 원
30.0% 상위 30% 7천만 원
40.0% 상위 40% 6천만 원
50.0% 상위 50% (중위) 5,200만 원
60.0% 상위 60% 4,500만 원
70.0% 상위 70% 4,000만 원
80.0% 상위 80% 3,300만 원
90.0% 상위 90% 2,800만 원

 

  • 상위 1%의 연봉 기준은 약 2.2억 원 이상, 상위 0.1%는 5억 원 이상입니다.
  • 중위 연봉(50%)은 약 5,200만 원 수준으로 추정되며, 이는 통계청 2023년 자료와 물가상승률을 반영해 조정된 수치입니다.
  • 상위 10%의 기준은 약 1억 원이며, 이 선을 넘는 경우 사회적으로 ‘고소득자’로 분류되곤 합니다.

 

 

 

연봉보다 중요한 건 실수령액!

취업이나 이직을 앞두고 연봉만 보고 결정하지 마세요.
실수령액을 기준으로 재무 계획을 세우는 것이 훨씬 현명한 선택입니다.

2025 연봉 실수령액표를 참고해, 내가 실제로 얼마를 받을 수 있는지 정확히 계산하고, 그에 맞는 소비 계획과 저축 전략을 세워보세요.

연봉이 올라가도 체감되는 소득은 예상보다 적을 수 있지만, 비과세 수당 협상이나 연말정산 전략을 잘 활용하면 실질 소득을 높일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