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40대 50대 60대 순자산 순위 (상위 0.1%, 0.5%, 1%, 10%)

40대 50대 60대 순자산 순위 (상위 01.%, 0.5%, 1%, 10%) 은퇴 임박한 5060, 순자산 3억 모았으면 평균... 상위 10%는?

 

연령별로 자산을 얼마나 모아야 상위 0.1% 최상위 그룹에 속하게 될까? 

이번 포스팅에서는 어느 정도 자산을 모야아만 상위 0.1%, 0.5%, 1%, 10%에 속하게 되는지 한번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자. 

 

이 글에서는 앞으로 100세시대 노후 준비를 위해선 정확히 현제 나의 위치를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맞는 말이다. 현재 내 상황을 점검하고 내가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서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지, 나보다 나은 사람들은 어떻게 노후를 준비하고 있는지 알고 나도 그에 맞춰 준비를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생각한다. 

 

여기서 이야기하는 순자산은(부동산 + 금융자산 - 부채)를 이야기 한다. 

 

상위 0.1%에 속하려면 순자산은?

우리나라에서 순자산 기준으로 상위 0.1%에 속하려면 40대 54억, 50대 72억, 60대 78억이 필요하다. 

서울 아파트 중에서도 강남 노른자에 최고급 아파트를 1채 소유하고 있거나 그 이상의 자산을 소유하고 있어야 저 정도 자산을 형성할 수 있을 거 같다. 

꽤 많은 수익을 올리는 전문직 부부가 서로 자산을 축적하면 가능한 수준 혹은 부모님의 경제력이 상당한 경우에만 가능한 수준이 아닐까 생각된다. 

40대 : 54억 8000만원

50대 : 72억 3000만 원

60대 : 78억 7000만 원

 

상위 0.5%에 속하려면 순자산은?

이번에는 상위 0.5%를 알아보자. 40대 33억, 50대 43억, 60대 52억으로 10년마다 10억 정도씩 자산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40대에 강남에 최상급지 아파트 한채만 빚 없이 자가로 소유하고 있어도 상위 0.5% 속할 수 있는 자산규모이다. 

강남 아파트가 괜히 강남 아파트가 아닌 거 같다.  

40대 : 33억 2000만 원

50대 : 43억 7000만 원

60대 : 52억 4000만 원

 

상위 1%에 속하려면 순자산은?

상위 0.5%와 거의 차이가 나지 않고 상위 1%에 속한다면 꾸준히 노력해서 현금흐름이나 자산을 쌓아나간다면 50대 혹은 60대에는 상위 0.5%로 충분히 도약이 가능해 보이는 수치다. 

상위 1%면 우리나라 국민 5000만 명 중 50만 명 정도에 해당되는 수치인데 우리나라 국민 50만 명은 40대에 평균 28억 원 정도의 자산을 소유하고 있다는 이야기이다. 

40대 : 28억 2000만 원

50대 : 33억 5000만 원

60대 : 38억 4000만 원

 

상위 5%에 속하려면 순자산은?

40대 기준으로 상위 5% 순자산은 14억 2000만 원으로 나타났다. 근로소득과 금융소득 기타 소득을 합친다면 상위 5%에는 충분히 들 수 있는 금액 같아 보인다. 꼭 전문직이 아니더라도 부부가 대기업을 다닌다거나 해서 꾸준히 저축하고 금융자산과 부동산자산을 늘려 저축해 나간다면 충분히 달성 가능한 목표 같다. 

서울에 아파트 한채만 자가로 소유하고 있어도 어느 정도 상위 5%에 해당하는 자산을 형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니 말이다. 

40대 : 14억 2000만 원

50대 : 18억 5000만 원

60대 : 18억 4000만 원

이번에는 상위권으로 보기는 좀 어려운 10% 를 살펴보자

편의상 중위권 정도로 표현하자

 

중위 10%에 속하려면 순자산은?

10%에 속하려면 40대 기준 자산이 10억 원을 형성하고 있어야 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10억 정도면 상위 10%에 속할 수 있다는 건데, 학창 시절에도 공부하면서 수능 2등급 정도 맞을 정도로 학업을 멀리하지 않은 친구들이 소득에서도 사회생활에서 도박이나 방탕한 생활을 하지 않고 착실히 월급을 모아 부동산이나 금융자산에 남들이 하는 만큼만 따라 투자했어도 상위 10% 자산을 형성하는 건 크게 어렵게 느껴지지 않아 보인다. 

물론 최근에 부동산 자산이 크게 상승해서 레버리지 효과로 자산을 크게 일군 사람들이 많아 쉬워 보일 수 있지만 그래도 달성 불가능한 수준은 아닌 거 같다. 

40대 : 10억 4000만 원

50대 : 12억 5000만 원

60대 : 13억 2000만 원

 

중위 20%에 속하려면 순자산은?

어떤 곳에서 글을 읽었는데 이상한 짓만 하지 않는다면 40대에 순자산 7억 원 정도는 그리 어려운 일은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물론 외벌이로 저정도를 일구는것은 웬만한 고소득이 아니고선 함들겠지만 부부가 맞벌이로 저축 열심히 해서 청약통장으로 당첨된 아파트에 빚을 꾸준히 갚아 나간다면 40대 후반에 7억원 정도의 자산을 일구는 게 불가능하지만은 않다고 생각된다. 

40대 : 7억 6000만 원

50대 : 8억 3000만 원

60대 : 8억 3000만 원

 

중위 30%에 속하려면 순자산은?

중위 30%에 속하는 사람들부터는 60대로 갈수록 자산이 줄어드는 경향을 보인다.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자산을 까먹으면서 노후를 보내는 사람들인 거 같은데 이때부터는 근로 소득으로만 평생 자산을 일구다가 은퇴하고 본인이 일궈 놓은 자산을 까먹으면서 주택연금과 같은 것으로 생활하지 않나 생각이 든다. 

젊었을 때부터 근로소득 이외에 현금 흐름을 하나 혹은 여려 개를 만들어 놓는 모습이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40대 : 5억 4000만 원

50대 : 6억 1000만 원

60대 : 5억 9000만 원

 

중위 40%에 속하려면 순자산은?

40대에 4억 정도가 있다면 중위 40%에 해당하는 자산을 소유하고 있는 것인데 마찬가지로 50대, 60대로 갈수록 자산이 줄어들고 있다는 건 자산을 어떻게 투자하는지를 알지 못하는 사람들이라 생각된다. 

40대 : 4억 1000만 원

50대 : 4억 5000만 원

60대 : 4억 2000만 원

 

중위 50%에 속하려면 순자산은?

50%에 해당하는 구간도 마찬가지.  최상위 권과 자산차이가 무려 20억 원 이상 차이가 난다. 노년생활수준의 차이도 그만큼 크게 벌어질 것으로 생각된다. 

40대 : 2억 9000만 원

50대 : 3억 2000만 원

60대 : 3억 1000만 원

 

이 글을 준비하면서 결론. 

40대에서 50대 60대로 갈수록 자산의 규모가 늘어나는 사람들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로 나눴었는데, 은퇴에 가까워 오면서 근로소득 이외의 현금 흐름을 만들어 놓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자신이 언제까지 근로소득을 유지할 수 있는 경쟁력 있는 사업체를 운영한다면 상관없겠지만 대기업 혹은 근로자로 은퇴를 한다면 추가현금 흐름을 만들어 놔야 한다. 

 

서울에 실거주 아파트 한 채와 부동산이나 배당금을 통한 현금흐름 정도의 세팅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현재 자신의 자산상태가 상위 그룹에 속하지 않는다고 낙담하거나 실망할 필요는 없다. 인간은 노력여하에 따라 충분히 자신의 상태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여지가 충분하기 때문이다.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으니 본인이 할 수 있는 방법 중에 최선을 다 해서 자산 규모를 늘리고 현금 흐름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발전해 나가도록 노력을 게을리하지 말아야 한다. 

 

 

댓글